함께하기 강의를 보며 이해한 바로는 먼저 CSRF 취약점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HTTP응답을 받을 웹 서버는 드림핵에서 제공하는 툴즈 서비스를 사용하도록한다. (드림핵 툴즈 서비스는 강의내에 제시되어있으니 해당 URL을 참고하기 바람) 드림핵 툴즈 서비스창을 띄우면 왼쪽 상단에서 두번째인 Request Bin창에서 랜덤으로 URL을 제공해준다 취약점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하기에 태그를 사용해 툴즈 서비스에서 제공해준 URL에 접속하는 공격코드를 작성한 후 취약점 페이지 vuln페이지에 똑같은 공격코드를 작성하면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취약점이 있음을 알았으니 메모 페이지에 플래그를 띄우도록 해야 한다. 로컬호스트에 위치하는 이용자가 플래그값이 저장된 /admin/notice_..